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국립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國立慶州博物館) Gyeongju National Museum 경상북도 경주시에 있는 국립박물관으로 성덕대왕신종(국보 제29호)를 비롯한 신라시대의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1913년 경주고적보존회(慶州古蹟保存會)가 결성되고, 1915년 옛 객사(客舍) 건물을 이용하여 신라 유물을 수집·전시하였다. 1929년 총독부박물관 경주분관(慶州分館)이 되었으며, 1945년 8·15광복과 함께 국립박물관 경주분관으로 출범하였다. 1975년 7월 2일 인왕동 신박물관으로 이전하였으며 같은 해 8월 20일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승격되었다. 1981년 제2별관을 신축하였으며 1994년 경주박물관대학을 개설하였다. 2002년에 미술관을, 2005년에 어린이박물관을 개관하였다 조직은 학예연구실과 기획운영과로 운영되며..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분황사 경주분황사를 소개합니다. 분황사 석탑은 현재 남아 있는 신라시대의 탑 중 가장 오래 된 것입니다 멀리서 얼핏 보면 벽돌로 차곡차곡 쌓은 건물처럼 보입니다. 하지만 자세히 보면, 벽돌이 아니고 전부 돌로 되어 있습니다. 돌을 일일이 벽돌처럼 작게 깍아서 쌓았다니 그 정성이 정말 대단한 것입니다. 벽돌로 쌓은 탑을 전탑(塼塔)이라고 하는데 벽돌탑을 모방해서 벽돌모양의 돌로 쌓은 석탑이라 해서 모전석탑(模塼石塔)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고합니다. 아마 벽돌로 쌓았으면 지금까지 남아있지 않겠죠 원래 이 탑은 7층이나 9층이었고 임진왜란 때쯤 무너져서 크게 훼손되었을 거라고 추청합니다. 무너진 탑을 3층 까지만 일본인들이 일제강점기때 복구를 한 것이라고 합니다. 그나마 이만큼이라도 남아 있는 것은 돌로 쌓았기 때문 ..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천마총 대릉원의 고분군 중 유일하게 공개하고 있는 155호 고분 천마총은, 옆에 위치한 황남대총을 발굴하기 위해 시범적으로 발굴한 곳인데, 당시 기술로는 황남대총 같이 거대한 규모의 무덤을 발굴하기가 힘들었기 때문이다. 1973년 발굴 과정에서 부장품 가운데 자작나무 껍질에 하늘을 나는 말이 그려진 말다래(말을 탄 사람의 옷에 흙이 튀지 않도록 가죽 같은 것을 말의 안장 양쪽에 늘어뜨려 놓은 기구)가 출토되어 ‘천마총(天馬塚)’이 되었는데, 최근 이 천마가‘말’을 그린 것이 아니라 ‘기린’을 그린 것이라는 주장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천마총은 5세기 말에서 6세기 초에 축조된 고분으로 추정되는데 금관, 금모자, 새날개 모양 관식, 금 허리띠, 금동으로 된 신발 등이 피장자가 착용한 그대로 출토되었다. 특히 천마.. 더보기 이전 1 ··· 7 8 9 10 11 12 13 ··· 1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