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주여행코스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시내버스 노선표 경주시내 관광지 노선버스표 무열왕릉 방면 노선버스 무열왕릉 서악서원 330 경주역 망성,화곡 07:55 19:55 망성,화곡 경주역 07:00 20:20 무열왕릉 서악서원 첨성대 천마총 60 신경주역 현진에버빌 06:20 20:05 현진에버빌 신경주역 07:00 20:55 무열왕릉 서악서원 첨성대 천마총 61 신경주역 현진에버빌 06:40 19:35 60분 현진에버빌 신경주역 06:45 20:20 60분 무열왕릉 서악서원 300-1 경주역 아화 06:30 20:00 아화 경주역 06:20 20:45 한옥민박 다루에 오실때 이 버스를 이용하시면 됩니다. 보문단지,세계문화엑스포 방면 노선버스 분황사 보문단지 18 터미널 암곡 08:05 20:20 120분 암곡 터미널 06:45 18:50 120분 분황사 보..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추억의 달동네 보문단지와 불국사 중간쯤 있는 추억의 달동네입니다. 1950~80년대 우리네 삶을 재현한 근대사 박물관 타 지방에도 여러곳에 이름만 다를뿐 비슷한곳이 많이 있죠 어린시절 추억이랄까 옛 골목길 풍경, 옛사람들의 살았던 삶의 모습을 재현한 곳이죠 대중버스 불국사행 10번, 700번 관람시간 - 08:30 ~ 19:00 [하절기 21:00] 관람요금 ;성인 7.500원, 경로 6,500원, 청소년 6,000원, 어린이 5,000원 요금이 조금 비싼 느낌.. 주위에 음식점으로 떡갈비점문점 [고색창연] 모든 연령 추천 순두부점문점 [콩이랑] - 가족,커플,친구 추천 칼국수 돈까스 집 [해솔방] -엄마,아빠,아이,커플 추천 칼국수 바지락칼국수 집 [궁림바지락칼국수 & 보쌈] - 가족,커플,친구 추천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서출지 경주 남산 기슭에 위치한 삼국시대 연못이다. 남산 마을 한가운데에 삼층석탑 두 기가 있고 동쪽에 아담한 연못이 있는데 다음과 같은 전설이 내려오고 있다. 신라 소지왕 10년(488)에 왕이 남산 기슭에 있던 ‘천천정’이라는 정자로 가고 있을 때, 까마귀와 쥐가 와서 울더니 쥐가 사람의 말로 ‘이 까마귀가 가는 곳을 쫓아 가보라’하니 괴이하게 여겨 신하를 시켜 따라 가보게 하였다. 그러나 신하는 이 못에 와서 두 마리의 돼지가 싸우는 것에 정신이 팔려 까마귀가 간 곳을 잃어버리고 헤매던 중 못 가운데서 한 노인이 나타나 봉투를 건네줘 왕에게 그것을 올렸다. 왕은 봉투 속에 있는 내용에 따라 궁에 돌아와 화살로 거문고집을 쏘게 하니, 왕실에서 향을 올리던 중과 궁주가 흉계를 꾸미고 있다가 죽음을 당했다는 것..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 함월산 골굴사 경주에서 동해안으로 약20km정도 떨어진 곳에 있는 경주의 사찰 골굴사 함월산 불교 유적지 중 가장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선무도로 많이 알려진 사찰입니다. 선무도 총본산 답게 입구의 동상들로부터 범상치 않은 경주의 절 함월산 골굴사 일주문 12개의 석굴로 조성된 경주의 가볼만한절 골굴사 골굴사의 선무도는 인도 무술에 기반을 둔 불교의 전통수행법으로 몸과 마음의 조화를 통해 깨달음을 이루는 참선 수행의 군본인 지관 수행법이랍니다. 골굴사에 들어가기 전 일주문을 통과하여 제일 먼저 만나게 되는 동아보살 경주에서 오랜 역사를 지닌 절이었지만, 화재로 인해 절터만 남아 있던 곳에 다시 중건을 하니 겨울에 태어나 중건 당시 스님께 입양되어 많은 후손을 남기니 그 후손들이 분양된 수익금이 대적광전과 선도도 대..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동리 목월문학관 박목월시인의 탄생 101주년기념으로 불국사 맞은편에 있는 동리 . 목월문학관 김동리 선생과 박목월 선생은 경주 출신으로 한국문단의 양대 산맥을 이룬 문단의 거봉들입니다. 김동리 선생은 혼미한 격변기에 우리 순수문학을 굳건히 지켜왔고, 인생의 구경(究竟)을 탐구하는 문학정신을 주창하여 해방 후 새로운 휴머니즘문학의 근간을 이루어 1982년 노벨문학상 5위 이내에 선정된 세계적인 작가입니다. 박목월 선생은 토착정서와 민요의 가락을 시와 음악으로 승화하여, 어린이들로부터 어른에 이르기까지 전 국민들로부터 ‘국민시인’으로 추앙받고 있는 시인입니다. 박목월 시인. 경북 경주 출생. 본명 박영종. 1939년 “문장”에 ‘길처럼’, ‘연륜’ 등이 추천되어 등단했다. 향토성이 강한 서정에서 출발하여 만년에는 신앙에 깊..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괘릉(스탬프투어) 원성왕릉[괘릉] 괘릉은 신라 제 38대 원성왕(785~798)의 능으로, 왕릉이 조성되기 이전에 연못이 있어 유해를 수면상에 걸어 안장하였을 것이라는 속설에 따라 붙여진 이름으로,‘걸어놓은 능’이라는 뜻이다. 왕릉 앞 석상들 가운데, 마주보고 있는 무인상 한 쌍이 이국적인 외모로 깊은 눈, 넓은 코, 숱이 많은 수염 등 서역인의 모습을 하고 있어 국제 무역의 중심지로 당시 신라를 떠올리면, 무인석의 모델이 무역을 위해 신라에 왔다가 눌러 살게 된 서역인으로 추정하고 있다. 옆에 서 있는 문인상은 당시 세계를 주름잡는 당당한 신라인의 모습을 , 무덤 앞에 사자상 두 쌍은 몸이 정면을 보고 있지만, 고개를 돌려 시선이 각각 동서남북을 향해, 왕의 무덤을 지키는 수호상으로 본분에 충실한 모습이라는 생각이 든다..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감은사지와 이견대 경주 감은사지 (사적 제 31호) 감은사(感恩寺)는 신라 제30대 문무대왕이 삼국통일의 대업을 성취하고 난 후, 부처님의 힘으로 왜구의 침입을 막고자 이곳에 절을 세우다 완성하지 못하고 돌아가자 아들인 신문왕이 그 뜻을 좇아 즉위한 지 2년 되던 해인 682년에 완성한 신라시대의 사찰이었다. 문무대왕은 죽기 전 내가 죽으면 바다의 용이 되어 나라를 지키고자 하니 화장하여 동해에 장사지낼 것을 유언하였는데, 그 뜻을 받들어 장사한 곳이 바로 대왕암이며 부왕의 은혜에 감사하여 사찰을 완성하고 이름을 감은사라 하였다고 전하고 있다. 현재의 모습은 1979년부터 2년에 걸쳐 전면 발굴조사를 실시하여 얻어진 자료를 통해 창건 당시의 건물 기초대로 노출 정비한 것이며, 아울러 금당의 지하에는 바다용이 된 문무대왕의..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 문무대왕릉 문무대왕릉 경주 문무대왕릉은 신라 30대 문무왕(재위 661∼681)의 무덤이다. 동해안에서 200m 떨어진 바다에 있는 수중릉으로, 신라인들의 창의적인 생각을 엿볼 수 있는 곳이다. 자연 바위를 이용하여 만든 것으로 그 안은 동서남북으로 인공수로를 만들었다. 바닷물은 동쪽에서 들어와 서쪽으로 나가게 만들어 항상 잔잔하게 하였다. 수면 아래에는 길이 3.7m, 폭 2.06m의 남북으로 길게 놓인 넓적한 거북모양의 돌이 덮혀 있는데 이 안에 문무왕의 유골이 매장되어 있을 것이라 추측된다. 사적 제158호. 대왕암(大王岩)이라고도 한다. 삼국통일을 완수한 문무왕(文武王)은 통일 후 불안정한 국가의 안위를 위해 죽어서도 국가를 지킬 뜻을 가졌다. 그리하여 지의법사(智義法師)에게 유언으로, 자신의 시신(屍身)을..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 읍천항 벽화마을 경상북도 경주시 양남면에 위치하고 있는 읍천항을 소개합니다. 터미널에서 예전에는 시간이 많이 소요 되었으나 자차이용시 터널이 완공하면서 1시간정도 걸립니다. 석굴암보고 불국사 보시고 읍청항으로 이동하시면 골굴사,기림사,감은사지,이견대, 문무대왕릉에서 읍천항 약 13분정도 소요되니 일정을 조정하시면 이동시간을 줄 일수 있습니다.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에 위치하고 있는 이곳은 신라시대 부터 어업이 활성화 된 곳이라고 합니다. 바위가 많아 항구가 위치하기에 어려운 점이 많은 장소이지만 항구 안쪽으로는 담벼락에 멋진 벽화들이 가득 들어찬 멋진 장소로 여행자 들이 찾아 볼만한 곳으로 시원하고 아름다운 바다가 한눈에 바라 보이는 조용한 전형적인 어촌마을 입니다.. 읍천항 벽화마을과 주상절리와 거리는약 4분 거리입니다.. 더보기
경주한옥민박 다루 - 경주 주상절리 파도소리길 주상절리 파도소리길 경주시 양남면 읍천항과 하서항 사이의 해안을 따라 약 1.5km에 이르는 주상절리입니다. 신생대 제3기 마이오세(약 2,600만~700만 년 전) 때 한반도 동남부 지역에서의 화산활동으로 인하여 생성되었을 것으로 추정한다합니다. 경주 주상절리 파도소리 올래길 ​ 파도소리길을 따라가면 신기한 주상절리 나타나죠 산책하든 바닷바람 맞으며 가벼운 발걸음 첫 번째로 만나는 주상절리는 2013년 천연기념물 제536호로 지정된 ‘부채꼴 주상절리’. 장작을 차곡차곡 쌓아 놓은 형상의 주상절리 오른쪽에 길이 10m가 넘는 육각형 모양의 주상절리 수백 개가 부채꼴 모양으로 펼쳐져 있다. 주상절리는 마그마에서 분출된 섭씨 1000도 이상의 용암이 차가운 지표면과 공기에 접촉하면서 만들어진다. 빠르게 냉각..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