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국사는 경상 북도 경주시 동쪽 토함산에 있는 절입니다.
고려 시대에 만든 역사책《삼국유사》에 따르면 이 절은 신라 경덕왕 때인 751년에 김대성이 세웠다고 전해집니다..
불국사의 내력을 적은 《불국사 역대 고금 창기》에 따르면
이 절은 528년에 세웠다고 전합니다.
또, 574년에 진흥왕의 어머니인 지소 부인이 절의 규모를 크게 늘렸고,
문무왕 때인 670년에 무설전을 새로 지었으며,
751년에 낡고 규모가 작았던 이 절을
당시의 재상 김대성이 크게 다시 지었다고 전합니다.
이러한 자료를 참고로 할 때,
불국사는 처음에 작은 규모로 세워졌던 것을
김대성이 크게 늘려 지은 것으로 짐작됩니다.
그 후 여러 차례에 걸쳐 고쳐 지으면서 규모가 2,000여 칸으로 커졌으나,
임진왜란 때인 1593년에 왜군에 의하여 건물이 불타 버렸습니다.
그 때, 금동 불상과 옥으로 만든 물건 그리고
돌로 된 다리와 탑만이 불에 타지 않았습니다.
왜군의 방화로 불타 버린 불국사의 목조 건물들은 광해군 때인
1612년에 경루 · 남행랑 · 범종각 등이 복구되었고,
인조 때인 1630년에 자하문, 1648년에 무설전이 다시 세워졌습니다.
위 사진의 돼지를 마지며 소원을 빌면 이루어진다고 많이 이들이 소원을 빌곤합니다.
1659년에 대웅전이 세워지는 등, 순조 때인 1805년까지
40여 차례의 복원 공사가 계속되면서 안양문 · 극락전 · 비로전 · 관음전 · 나한전 · 시왕전 · 조사전 등이 다시 세워졌습니다.
그러나 조선 말기에 이르면서 나라의 힘이 약해지자 복원 공사도 중단되었고,
이미 세워졌던 건물들도 낡고 파손된
상태로 방치되어 오다가 일제 침략기를 맞았습니다.
1924년에 대규모의 보수 공사를 하면서 다보탑을 해체 · 수리하였습니다.
그 때 탑 속에서 금동 불상 · 사리 장치 등
많은 유물들이 발견되었으나 행방 불명되었고,
관련된 기록 자료도 모두 없어져 버렸다. 그 후 1970년부터 1973년까지
대대적인 복원 공사를 하였습니다.
이 때, 그 때까지 옛 터로만 방치되어 오던 자리에
무설전 · 경루 · 관음전 · 비로전 · 화랑 등이 복원되고,
대웅전 · 극락전 · 범영루 · 자하문 등이 새롭게 단청되었습니다.
불국사 경내 면적은 38만 8,570㎢이며, 사적 및 명승 제1호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경내에 국보급을 비롯한 많은 문화재가 보존되어 있습니다.
그 중 잘 알려진 문화재로는 국보 제20호인 '불국사 다보탑'을 비롯해 국보 제21호인
'불국사 삼층 석탑', 국보 제22호인 '불국사 연화교 칠보교’,
국보 제23호인 '불국사 청운교 백운교',
국보 제26호인 '불국사 금동 비로자나불 좌상', 국보 제27호인
'불국사 금동 아미타여래 좌상',
보물 제61호인 '불국사 사리탑' 등이 있습니다.
'경주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한옥민박 다루 - 교촌마을 (0) | 2017.05.16 |
---|---|
경주한옥민박 다루 - 오릉 (0) | 2017.05.15 |
경주한옥민박 다루- 포석정지(포석정) (0) | 2017.05.14 |
경주한옥민박다루-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1) | 2017.05.11 |
경주한옥민박다루- 무열왕릉 (0) | 2017.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