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 태종무열왕릉을 소개합니다.
저희 다루 인근에 위치한
신라 제29대 태종 무열왕 김춘추(재위기간 654-661)의 무덤입니다.
삼국 통일의 대업을 이룩하려고 나당연합군을 결성해 백제를 흡수하고
통일의 기반을 닦았으나 통일을 완수하지는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고 합니다.
계림의 국토 박물관 순례 "태종무열왕릉 자세한 설명 링크"
이 비석(碑石)은 신라(新羅) 문무왕(文武王) 원년(元年)(661)에
무열왕(武烈王)의 위대한업적을 길이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 것인데 비신(碑身)은 없어지고 지금은 비(碑)의 대석(臺石) 이었던
귀부(龜趺)와 비신(碑身) 위에 얹혔던 이수 만이 남아 있습니다.
목을 길게 쳐들고 힘차게 뒷발로 땅을 밀며 전진하는
거북의 모습에서 신라통일(新羅統一)초기(初期)의
씩씩한 기상을 볼수 있어 여의주(如意珠)를 받들어 올린
여섯 용(龍)을 새긴 이수와 더불어
동양(東洋)에서 가장 뛰어난 걸작이라는 칭찬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수에 새겨진 태종무열대왕지비(太宗武烈王陵碑)의
여덟 글자는 무열왕(武烈王)의 둘째 아들인 김인문(金仁問)의 글씨라 전합니다.
무열왕릉의 길건너에 비각이 있습니다.
많은 이들이 그냥 지나쳐가는 곳이지만 무열왕릉에 왔다면 이곳도 둘러보고 가세요
보물 제70호 경주 서악동 귀부
태종무열왕의 둘째 아들 김인문의 묘비를 세웠던 거북이모양 받침돌이라고 합니다.
목을 앞으로 길게 빼 추켜세우고 앞으로 나아가는 형상입니다.
비의 몸돌과 머릿돌은 없어졌는데,
비석의 조각이 발견되어 국립경주박물관에 전시되어 있습니다.
계림의 국토 박물관 순례 "김인문의 묘 자세한 설명 링크"
'경주둘러보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주한옥민박 다루 - 교촌마을 (0) | 2017.05.16 |
---|---|
경주한옥민박 다루 - 오릉 (0) | 2017.05.15 |
경주한옥민박 다루- 포석정지(포석정) (0) | 2017.05.14 |
경주한옥민박다루-경상북도 산림환경연구원 (1) | 2017.05.11 |
경주한옥민박다루-불국사 (2) | 2017.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