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주한옥민박 다루 - 오릉
『경주 오릉 (慶州 五陵)』
경상북도 경주시 서북쪽 경주 분지 남쪽 끝에 있는 신라 초기 박씨 왕들의 무덤
경주 오릉은 사적 제172호. 봉분 높이 10m 내외, 지름 20m 내외이다.
신라 초기의 왕릉으로 시조(始祖) 박혁거세(朴赫居世)와 알영부인(閼英夫人),
제2대 남해왕(南解王), 제3대 유리왕(儒理王),
제5대 파사왕(婆娑王) 등 5명의 분묘라 전해진다.
오릉 동쪽에는 박혁거세의 위패를 모신 「숭덕전」이 있고,
그 뒤에는 알영이 탄생한 알영정이 있습니다.
일명 사릉(蛇陵)이라고도 하는데 이러한 명칭은
박혁거세가 승하 후 7일 만에 그 유체(遺體)가 다섯 개로 되어 땅에 떨어졌으므로
이를 합장하려 하자 큰 뱀이 나와 방해하므로
그대로 다섯 군데에다 매장하였다는 《삼국유사》의 기록에서 연유되었다.
신라오릉정화사업기념비
산책하기 좋은 소나무숲
오릉 숭의문(崇義門)
오릉 제각(祭閣)
지정면적 8만 9,950㎡.『삼국사기』등 문헌에서는 ‘사릉(蛇陵)’이라고도 한다.
모두 5기가 있으며,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거서간과 왕비 알영(閼英),
제2대 남해차차웅, 제3대 유리이사금, 제4대 파사이사금의 무덤으로 전하고 있다.
원형봉토분으로 제1릉은 가장 남쪽에 있으며
높이 약 10m로 5기 가운데 가장 높고 크며
제2릉은 제1릉의 동북쪽에 있으며 높이는 약 9m입니다.
제3릉은 제2릉의 동쪽에 표주박 형태[瓢形]를
이루고 있으며 높이는 약 7.2m입니다.
제4릉은 제2릉의 서쪽에 있으며 높이는 약 3.6m입니다.
제5릉은 제4릉의 동북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높이는 약 1.8m입니다.
아직 발굴조사가 실시된 바 없어 각 능의 구조를 알 수 없으며,
경주일대에서 3세기 이전으로 올라가는
원형봉토분의 구조형식이 확인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현재 알려진 피장자와 직접 연관시키기는 아직 이른 실정이다.
숭덕전 외삼문인 영숭문(永崇門),
『숭덕전 (崇德殿)』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제사를 모시는 곳입니다.
1429년(세종 11) 왕명에 의하여 창건되고
봄과 가을에 향과 축을 하사하여
중사(中祀)의 예로 지낼 것을 정식으로 정하였습니다.
1723년(경종 3)에 숭덕전의 현판을 하사하고
참봉 2인을 두어 관리하게 하였는데,
그 뒤 참봉은 그 자손이 세습하도록 하였습니다.
숭덕전의 정문인 조흥문(肇興門),
1752년(영조 28) 다시 묘정에 비석을
세워 신라 시조가 국민에게 끼친 유덕을 기록하였습니다.
제관으로는 헌관(獻官)ㆍ축(祝)ㆍ장찬(掌饌)ㆍ집준(執尊)ㆍ집사(執事)
ㆍ찬자(贊者)ㆍ알자(謁者) 등으로
숭령전(崇靈殿)의 예와 같으며, 헌관은 관찰사가 왕을 대행하여 지내게 하고,
관찰사가 부득이한 경우로 제사를 올리지 못할 때는 경주부윤이 대행하였습니다.
찬품(饌品)에 있어서는 숭령전의 제례에 따라
변(籩) 10, 두(豆) 10, 조(俎) 2, 보(簠)ㆍ궤(簋) 각 2, 작(爵) 3, 희준(犧尊)
2, 상준(象尊) 2, 산뢰(山罍) 2 등이며, 폐백은 백저(白苧)를 쓰게 하였습니다.
임진왜란때 박혁거세의 위패를 지켜낸 운암(雲庵) 월성(月城) 박언수(朴彦洙) 공덕비
숭성각(崇聖閣),
추보헌(追報軒, 왼쪽 사진)과 신라숭덕전·왕릉참봉협의회
신라 시조 박혁거세의 왕비인 알영이 태어난 우물인 알영정(閼英井)
숭덕전 연못
알영정
이용시간
하절기(3~10월) 09:00~18:00
동절기(11~2월) 09:00~17:00
입장료
개인 - 어른 1,000원 / 청소년·군인 600원 / 어린이 400원
단체 - 어른 800원 / 청소년·군인 500원 / 어린이 300원
※ 단체 30인 이상
[종합이용권]
* 6종 대상지 : 대릉원, 동궁과월지(舊 안압지), 포석정지, 오릉, 김유신묘, 무열왕릉
개인 - 어른 8,000원 청소년 4,800원 어린이 2,800원
단체 – 어른 6,400원 청소년 4,000원 어린이 2,200원
* 비고
- 구입처 : 대릉원, 동궁과월지(舊 안압지), 포석정지, 오릉, 김유신묘, 무열왕릉
- 유효기간 : 3일(1곳 이라도 관람 시 환불불가)
- 특이사항 : 관람객 인원수 관계없이 종합이용권 1장에 발권가능